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67

3. 숫자처리함수 절댓값 abs(), 제곱 pow(), 최댓값 max(), 최솟값 min(), 반올림 round() abs(-5)) #5의 절댓값인 5가 출력된다. pow(5, 3)) #5를 세 번 곱한 수인 125가 나온다. 4**2와 같다. max(5, 3) #최댓값을 구해준다. 5가 출력된다. min(5, 3) #최솟값을 구해준다. 3이 출력된다. round(4.67) #1의 자리까지 반올림을 해준다. 5가 출력된다. math 라이브러리 올림 floor(), 내림 ceil(), 제곱근 sqrt() from math import * floor(4.67) #내림을 해준다. 4가 출력된다. ceil(3.14) #올림을 해준다. 4가 출력된다. sqrt(4) #제곱근 값을 구해준다. 2가 출력된다. 2022. 6. 20.
2. 변수 변수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자면 원하는 값을 저장해주는 기능인데, 코딩의 아주 기초적이며 중요한 요소이다. 변수는 코드 중간에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문장 전체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어서 편리하다. 프로필을 변수처리해서 자기소개를 출력해보자. name = '전자여우' # 이름인 전자여우를 name이라는 변수에 저장. 문자열이기 때문에 따옴표가 필수! age = 26 hobby = '웹서핑' favFruit = '복숭아' isAdult = age >= 20 #나이가 20보다 같거나 크면 성인입니다. age 변수가 정수타입int이기 때문에 수식 작성이 가능 print('안녕하세요!') print('저의 이름은 ' + name + '입니다.') print('저는 ' + str(age) + '살이며, 취.. 2022. 6. 18.
1. print 함수의 기본 문법과 연산자 문자형 자료출력 print('여우') #문자열을 출력 할 경우엔 작은 따옴표('')나 print("전자여우") #큰 따옴표("")로 감싸주어야 한다. print('여우'*3) #곱하기(*)를 써서 여우를 연속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 print('전자' + '여우') #전자여우 print('전자', '여우') #콤마를 통해 출력할 경우 사이에 공백이 생긴다. 전자 여우 숫자형 자료출력 #숫자 출력 print(5) #자연수 5를 출력 print(-2) #음의 정수인 -2를 출력 print(0.1) #양의 유리수인 0.1을 출력 #기본 연산자 print(1 + 2) #1과 2를 더한 값인 3을 출력 print(5 - 3) #5에서 3을 뺀 값인 2를 출력 print(5 * 3) #5와 3을 곱한 값인 15를 .. 2022. 6. 18.